어느 DW에는 오리가 살고 있습니다

DW부터 BI까지

데이터 엔지니어링/Snowflake

[전공자가 써본 Snowflake] Snowflake 시작하기 | 무료 계정 생성

데이터오리 2022. 3. 11. 13:43

뭐든 직접 써봐야 아는 법이다. 계정 생성부터 해보자!

 

 

Snowflake 무료 계정 생성


Snowflake에서는 계정을 생성하면 30일간의 free trial을 제공한다. 30일이면 Snowflake를 뜯어보기에는 충분한 시간이다. $400만큼의 credit 안에서 모든 기능을 다 쓸 수 있다. 

Snowflake 무료 계정 생성

 

 

https://signup.snowflake.com/

 

Snowflake Trial

 

signup.snowflake.com

위 링크를 누르면 계정 생성창으로 이동한다. 쭉쭉 입력하고 다음 창으로 넘어간다. 입력한 프로필 정보는 나중에 로그인해서 변경할 수 있다.

 

 

Edition 및 클라우드 설정

edition 및 cloud provider 선택

무료 계정이어도 모든 edition을 고를 수 있다. 

 

  • Standard - 말 그대로 기본 버전이다
  • Enterprise - 기업용 버전으로 데이터 백업과 공동작업에 필요한 기능이 추가로 제공된다. 90일까지 time travel이 가능하여 데이터를 원하는 시점으로 돌릴 수 있고, 멀티 클러스터를 사용하여 동시 작업에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materialized view 사용이 가능하여 쿼리의 수행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 Business Critical - 기업용에 추가적으로 보안상 기능이 충분히 갖춰진 버전이다.

 

어떤 edition을 사용할지 골랐으면 다음으로 클라우드를 설정한다. Snowflake에서는 3개의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떤 클라우드를 써도 swowflake상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차이가 크진 않다. 다만 클라우드 별로 지원하는 기능에 차이가 좀 있으니, 무난하게 AWS를 추천한다. 만약 특정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를 끌어와야 한다면 해당 클라우드로 설정해야 한다.

 

email 인증

이메일 인증까지 끝나면 이제 사용자 정보만 남았다. 

 

 

사용자 정보

Username에는 사용할 id를 입력해주면 된다. Username은 로그인 할 때마다 입력하고, 콘솔창 우측상단에 표시된다. 계정 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직관적인 이름을 설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Snowflake account name

매우매우 중요하다. 반드시 처음 로그인했을 때 account name을 찾아두는 것을 권장한다. 콘솔창 주소 자체를 북마크해두면 더 좋다.

 

Snowflake는 SaaS형태로 설치 없이 사용하는 서비스이기 떄문에, 내 DB 주소에 들어간 다음 로그인을 한다. 아무리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아도 콘솔창 주소를 모르면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뜻...

 

회사 컴퓨터로 작업하던 걸 집에서 노트북에서 이어서 작업하려다 account name을 못 찾아서 작업을 못한 적 있다...

Snowflake account name

영어 2글자 + 숫자 5글자 조합으로 이루어진 account name이다. 콘솔창 주소에도 나와있다.

 

 

콘솔창 주소까지 잘 저장해뒀으면 이제 세팅은 끝났다. 다음 게시물에서는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한당~